전체 글 (5)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기적인 특성에 따른 집적 회로IC의 분류 TTL과 CMOS는 겉모양은 비슷하나 구조나 전기적인 특성은 다르다. 이들은 4가지 특성에 의해서 평가된다. 1: 전달 지연 시간: 신호가 입력되어서 출력될 때까지 소요된 시간을 말하며, IC의 동작 속도를 나타낸다. 2: 소비전력: IC가 동작할 떄 소비되는 전력(=공급전압X공급전력)을 나타낸다. 3: 팬-아웃: 정상적인 동작으로 하나의 출력이 최대 몇 개의 입력으로 연결되는가를 나타낸다. 4: 잡음 여유도: 디지털 회로에서 데이터의 값에 변경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로 허용된 잡음 여유를 나타낸다. TTL 계열은 쌍극형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제작한 논리 IC이다. 대부분 +5V 전압에서 동작하며, 동작속도가 빠르지만 소비전력이 크다는 단점도 있다. TTL은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거나 동작 속도를 더.. 제작 형태에 따른 집적 회로의 분류 집적 회로는 PCB에 장착하는 방법에 따라 DIP형(삽입 장착형)과 SMD형(표면 실장형)으로 구분한다. DIP 타입의 형태의 IC는 PCB의 구멍에 끼우는 핀을 가지고 있어 뒷면의 도체 납땜으로 연결할 수 있다. 반면에 SMD 타입은 PCB 표면에 IC를 납땜하여 회로를 연결하는 형태를 말한다. SMD는 DIP에 비해 논리 회로의 크기를 70%, 무게를 90% 가량 줄임으로써 PCB 제조 가격을 크게 낮추었다. SMD 형태의 IC로는 SOIC, QFP, PLCC 등이 있다. SOIC는 DIP의 리드 간격을 절반으로 하여 리드를 표면 실장을 위해 다리가 바깥쪽으로 구부러져있다. 그리고 패키지의 4방향에서 리드 핀을 낸 것을 QFP라고 한다. PLCC는 패키지 4변의 측면에 리드가 있다. 리드의 끝부분은 .. 디지털 논리 신호의 변환 시스템은 처리하는 신호의 형태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 시스템과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스템으로 나눈다. 디지털 시스템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고 저장한 후, 재생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상호 변환할 수 있는 변환기가 필요하다.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를 A/D 변환기라고 하고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를 D/A 변환기라고 한다.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은 3단계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 진다. 1단계 표본화: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표본을 추출하는 과정이다. 2단계 양자화: 표본화 과정에서 얻은 디지털화된 진폭의 크기를 디지털 양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디지털 양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이전 1 2 다음